용인특례시의회 황재욱 의원(더불어민주당, 보정동·죽전1동·죽전3동·상현2동)은 9월 19일 열린 제295회 임시회 제3차 본회의 5분 자유발언에서 ‘기흥구 분구’의 필요성을 강하게 제기하며, 용인시가 변화된 현실을 반영한 행정체계 개편에 나서야 한다고 촉구했다.
황 의원은 이날 발언을 통해 “기흥구는 이미 인구 45만을 넘어섰고, 곧 50만 돌파가 확실시되는 사실상의 하나의 도시”라며 “그러나 현재까지도 단일 행정 체계를 유지하면서, 시민이 체감할 수 있는 질 높은 행정서비스 제공에 한계가 있다”고 지적했다.
 용인특례시 황재욱 의원이 19일 열린 제295회 임시회 제3차 본회의에서 5분 자유발언을 하고 있다..jpg 3717431399_1758389038.07.jpg](http://yongintv.co.kr/data/editor/2509/3717431399_1758389038.07.jpg)
“플랫폼시티·구 경찰대 부지 개발 등으로 인구 폭증 예상…행정 수요 감당 어려워”
황재욱 의원은 기흥구의 급속한 인구 증가와 함께 행정 수요 역시 기하급수적으로 늘고 있다고 분석했다. 특히 “현재 진행 중인 용인 플랫폼시티와 구 경찰대 부지 개발 등으로 인해 향후 약 2만여 세대의 입주가 예정돼 있다”며, “기흥구는 머지않아 인구 50만을 넘길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이어 “기흥구는 이미 용인시 전체 인구의 40%를 차지하고 있으며, 웬만한 기초자치단체에 버금가는 행정 단위”라면서 “그러나 하나의 구 체계로는 복잡다변화한 행정 수요를 감당하기 어렵다”고 강조했다.
 용인특례시 황재욱 의원이 19일 열린 제295회 임시회 제3차 본회의에서 5분 자유발언을 하고 있다..jpg 3717431399_1758389061.5.jpg](http://yongintv.co.kr/data/editor/2509/3717431399_1758389061.5.jpg)
“지역 간 불균형, 민원 지연, 행정 효율 저하…생활권별 맞춤 행정 필요”
황 의원은 기흥구의 생활권 복잡성도 분구 필요성을 뒷받침하는 핵심 요소로 지목했다. 그는 “기흥구는 전통적인 주거 지역, 신도시, 농촌 지역이 혼재되어 있어 권역별 특성이 매우 뚜렷하다”면서, “현재의 행정 구조로는 생활권별 맞춤형 행정 제공이 사실상 불가능하다”고 진단했다.
또한 “민원 처리 지연, 기반 인프라 부족, 지역 간 행정 불균형 등 시민 불편이 지속되고 있다”고 지적하며, 분구를 통해 권역별 특화 전략 수립과 시민 밀착형 행정체계 구축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용인특례시 황재욱 의원이 19일 열린 제295회 임시회 제3차 본회의에서 5분 자유발언을 하고 있다..jpg 3717431399_1758389075.89.jpg](http://yongintv.co.kr/data/editor/2509/3717431399_1758389075.89.jpg)
“화성시 동탄 분구 사례 참고해야…분구는 시대적 요구”
황 의원은 화성시의 동탄신도시 분구 사례를 언급하며, “동탄은 분구를 통해 시민 중심의 행정서비스를 실현하고 있다. 기흥구 역시 더 이상 행정의 효율성과 주민 만족도를 외면해선 안 된다”고 강조했다.
이어 “물리적인 청사 확보와 조직 개편 등은 단기적 부담일 수 있지만, 시민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장기적 투자로 봐야 한다”며, 분구 논의가 ‘행정구역 조정’이 아닌 ‘정책적 결단’임을 분명히 했다.
“시장, 여전히 분구 계획 없나? 시민 앞에 입장 밝혀야”발언 말미에서 황 의원은 시장의 책임 있는 답변도 촉구했다. “2022년 시정 질의 당시 시장께서는 ‘분구 계획이 없다’고 하셨지만, 2025년 현재에도 여전히 입장이 동일한지 시민 앞에 분명히 밝혀야 한다”며, 기흥구 분구에 대한 공식적 입장 표명을 요구했다.
끝으로 그는 “기흥구 분구는 단순한 행정 효율성 문제가 아니라, 50만 기흥구민의 삶의 질과 직결된 중대한 사안”이라며, “용인시가 시대적 요구에 부응해 분구의 타당성 조사 및 구체적 실행 계획을 조속히 수립하길 바란다”고 강조하며 발언을 마쳤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