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산업과 복합문화 중심도시로 발돋움 8조 2000억원 규모, 반도체·AI·바이오 산업 중심의 미래형 도시 조성-
용인특례시(시장 이상일)는 11일 오후, 반도체·인공지능(AI) 등 첨단산업과 마이스(MICE) 산업, 주거, 교통, 문화가 융합된 경기남부의 핵심 거점 도시 ‘경기용인 플랫폼시티’ 착공식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 프로젝트는 수도권 남부 신성장 거점도시로 자리잡을 ‘경기용인 플랫폼시티’가 이상일 시장의 대표 도시계획인 ‘L자형 반도체 벨트’의 핵심 거점 중 하나로 개발될 예정이다.
‘경기용인 플랫폼시티’는 기흥구 보정동, 마북동, 신갈동, 수지구 상현동과 풍덕천동 일원 약 83만평(약 272만 9000㎡)에 걸쳐 총 8조 2000억원이 투입되는 대규모 공공주도 개발사업이다. 이 프로젝트는 용인특례시와 경기도, 경기주택도시공사, 용인도시공사가 공동으로 시행하며, 교통과 산업, 주거·문화가 결합된 복합도시를 조성할 계획이다.
경기용인 플랫폼시티는 GTX-A노선 구성역을 중심으로 수인분당선, 경부고속도로 등 광역 교통망을 효율적으로 연계하여 ‘수도권 남부 교통 허브’를 구축하며, 산업과 주거, 상업, 문화가 어우러진 복합시설 개발을 목표로 한다.
이날 착공식에는 이상일 용인특례시장을 비롯해 김성중 경기도 행정1부지사, 경기주택도시공사 이종선 사장 직무대행, 용인도시공사 신경철 사장 등 5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본격적인 사업 추진을 다짐했다.
이상일 시장은 “’경기용인 플랫폼시티’는 대한민국 제일의 미래형 도시가 될 것”이라며, “GTX-A노선 구성역을 중심으로 복합환승센터와 컨벤션시설, 호텔, 쇼핑몰 등 다양한 생활 편의시설이 들어서 시민들에게 훌륭한 문화공간, 여가공간, 상업공간을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시장은 또한 “플랫폼시티에는 반도체산업 및 AI, 바이오 관련 기업들이 입주해 용인의 4차산업 발전을 이끌 것”이라고 강조하며, 이 프로젝트가 지역 경제와 산업 발전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을 전망했다.
이상일 시장은 “제가 취임한 이후, 약 83만평 규모의 대규모 개발사업에 따른 개발이익을 전액 용인에 재투자하기로 경기도, 경기주택도시공사와 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으며, “이번 사업으로 약 5만 5000여개의 일자리가 창출되고, 1만 105세대의 주택이 공급되어 3만여명이 거주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또한, “지난해 경부고속도로 지하화 사업이 기획재정부의 예비타당성조사를 통과함에 따라, 이 지역은 플랫폼시티와 연결되는 IC도 개통되어 교통허브 기능이 더욱 강화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첨단산업과 MICE 산업 중심의 복합도시
‘경기용인 플랫폼시티’는 미래 기술 혁신의 중심지로 자리잡을 예정이다. 특히, ‘용인 첨단시스템반도체클러스터 국가산업단지’와 ‘용인반도체클러스터’, ‘삼성전자 미래연구단지’ 등과 연결되어 ‘L자형 반도체 벨트’를 구축, 글로벌 반도체 생태계의 핵심 거점으로 발전할 것으로 기대된다.
시는 ‘경기용인 플랫폼시티’에 첨단산업 관련 기업을 유치하고, GTX 구성역 일대 9만여평을 특별계획구역으로 지정하여 컨벤션센터와 호텔 등 MICE 시설을 설치, 민간사업자 공모를 통해 창의적인 복합도시계획을 구축할 예정이다.
2030년까지 완공 목표
이 프로젝트는 2030년까지 부지 조성을 완료할 계획이며, 용인특례시는 최적의 교통 여건을 갖춘 ‘경기용인 플랫폼시티’를 수도권 교통의 주요 거점으로 개발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할 방침이다.
‘경기용인 플랫폼시티’는 GTX-A노선, 경부고속도로, 영동고속도로가 교차하는 신갈JC와 인접하여 수도권 주요 업무지구로의 뛰어난 접근성을 자랑하며, 향후 지역 경제와 산업 발전을 이끌 중요한 거점 도시로 자리잡을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