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
현재위치://
  1. 용인뉴스
  2. 사회

[용인티비종합뉴스] 용인특례시, 16일 ‘2024년 하반기 농민기본소득’ 지급

  • AD 소연기자
  • 조회 6582
  • 2024.12.16 20:24

- 총 지원규모 41억 1750만원…1만 3266명에게 ‘용인와이페이’로 지원 -

용인특례시(시장 이상일)는 지역 내 농가의 소득 안정화와 농업경쟁력 강화를 위해 ‘2024년 제2차 농민기본소득’을 16일 지급한다.

지원 규모는 총 41억 1750만원으로, 용인에 주소를 두고 실제 농업에 종사하는 농민 1만 3266명이 혜택을 입는다.

 3717431399_1734348270.15.jpg
농민기본소득은 농민의 기본권을 보장하고 농가 소득 안정화를 위해 지원한다. 이를 통해 농민들은 월 5만원씩 최대 60만원을 지역화폐인 ‘용인와이페이’로 받는다.

상반기에 지급받은 농민은 하반기분 30만원을 받고, 추가 신청자와 상반기 소득조회 부저격 대상자 중 하반기 소득조회 결과 적격자로 결정된 농민은 1년분인 60만원을 받는다.

 

청년기본소득과 농어민 기회소득을 지원받은 농민은 지급받는 해당월을 제외한 지원금을 받을 수 있고, 전출자에 대해서는 기여를 완료한 부분까지 지급한다.

지급조건은 용인에 2년 연속 거주하거나 경기도에서 5년을 거주하고, 용인에서 연속 1년이나 경기도에서 연속 3년 이상 농산물 생산활동(농작물 재배업, 축산업, 임업)에 종사해야 한다.

 

아울러 농업 외 종합소득이 3700만원 이상이거나 청년기본소득 또는 농어민 기회소득 지급대상자, 공익직접지불금 지급 제한을 받는 부정수급자 등은 지급 대상에서 제외된다.

농민기본소득은 사업 신청 시 등록한 용인와이페이 카드에 지급된다. 카드가 없거나 분실한 경우 거주지 구청 산업과(산업환경과)나 읍·면 행정복지센터에서 카드를 발급 받으면 된다.

 

농민기본소득은 소상공인 매장과 농민 편리성을 위해 지역 농축협에서도 사용할 수 있고, 사용기한은 지급 후 180일이다. 사용기한 내 사용하지 않으면 자동 환수된다.

시 관계자는 “농민기본소득 지급으로 농업의 공익적 가치에 대한 보상과 농가 소득 증대, 소상공인의 매출 증대로 지역 경제 활성화에 도움이 될 것”이라며 “2025년부터 농민기본소득은 폐지되고 농어민 기회소득에 통합돼 추진될 예정”이라고 말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다음요즘 싸이공감 네이트온 쪽지 구글 북마크 네이버 북마크
  • ‘용인시 자원봉사자의 날’기념식‘성황’

    AD 소연기자 3,919 Dec 13 2015
    용인시는 ‘용인시 자원봉사자의 날’ 기념식이 지난 9일 오후 2시 시청 에이스홀에서 열렸다고 밝혔다. 이번 행사는 2015년 한해동안 용인시 자원봉사 활성화에 기여한 자원봉사자들의 자긍심을 높이기 위해 마련되었다. (재)용인시자원봉사센터가 주관해 열린 이날 행사에는 정찬민 용인시장을 비롯해 용인시의회 의장, 도의원, 시의원, 관계공무원, 자원봉사자 등 총 500여명이 참석해 한 해 동안 수고한 자원봉사자들을 격려했다. 이번 행사는 인기가수 이정…